📌 목차
- K-패스란?
- K-패스 지원 대상
- 적립 수단
- 적립 기준
- 적립률 (누가 얼마나 받을까?)
- K-패스 카드 발급 방법
- K-패스 이용 방법
- K-패스 참여 지역
- K-패스를 꼭 이용해야 하는 이유
1. K-패스란?
K-패스는 대한민국의 대중교통 이용자를 위한 적립형 교통카드 제도로, 일정 횟수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이용금액의 일부를 적립해 주는 혜택을 제공합니다. 기존 알뜰교통카드가 K-패스로 전환되며, 더욱 강화된 적립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2. K-패스 지원 대상
K-패스는 만 19세 이상이면서 K-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.
3. 적립 수단
K-패스로 적립이 가능한 교통수단은 다음과 같습니다.
✅ 적립 가능
- 버스(광역버스 포함)
- 도시·광역철도(신분당선, GTX 등 포함)
- 공항철도
❌ 적립 불가
- 시외(고속) 버스, KTX, SRT, 공항버스 등
- 별도로 발권하여 탑승하는 교통수단
- 타 교통수단과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교통수단
4. 적립 기준
K-패스를 통해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적립할 수 있습니다.
💡 알아둘 점
- 가입 첫 달은 15회 미만 이용해도 적립 가능
- 하루 최대 2회까지만 적립
- 30분 이내 환승 시 1회로 처리
- 월 60회 초과 시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적립
- 월 이용금액 20만 원 초과 시 초과 금액의 50%만 적용 (경기·인천 제외)
5. 적립률 (누가 얼마나 받을까?)
구분 적립률
일반 | 20% |
청년 (만 19~34세) | 30% |
저소득층 (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) | 53% |
🔎 저소득층 적립률 신청 방법
- K-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MY > 저소득정보 화면에서 신청
- 신청 후 대상자로 확인되면 정상 적용
6. K-패스 카드 발급 방법
- K-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
- 회원가입 후 K-패스 카드 신청
- 발급된 K-패스 카드 수령 후 사용 가능
-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도 K-패스로 전환 가능
🔹 K-패스 카드를 발급받아야 적립 혜택을 받을 수 있으므로, 회원가입 후 바로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7. K-패스 이용 방법
🔹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?
- 4월 30일까지 K-패스로 회원 전환 필수!
-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 전환하면 기존 카드 그대로 사용 가능
- 전환하지 않으면 5월 1일부터 혜택 적용 불가
🔹 신규 가입자는?
- K-패스 카드 발급
-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 가입
- K-패스 교통카드로 대중교통 이용하면 자동 적립
8. K-패스 참여 지역
대한민국 17개 시도, 210개 시군구에서 K-패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이 포함되는지 확인 후 가입하세요!
9. K-패스를 꼭 이용해야 하는 이유
✅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한다면 최대 30~53%까지 적립 가능
✅ 월 15회 이상 이용하면 혜택 자동 적용
✅ 경기·인천 제외 월 20만 원 초과 사용 시 초과 금액의 50% 적립
✅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도 회원 전환 후 그대로 이용 가능
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분이라면 K-패스 가입은 필수!
지금 바로 신청해서 교통비도 아끼고, 혜택도 챙기세요! 🚍🚆💨
'일상다반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최신! 배우자 출산휴가 제도 총정리 (유급휴가 + 급여 신청법까지) (0) | 2025.04.05 |
---|---|
당신은 'Chill Guy'인가요? – 요즘 핫한 '칠가이'의 모든 것 (1) | 2025.04.04 |
비행기에서 보조 배터리, 이제 함부로 쓰면 큰일 나요! (feat. 2025년 항공사 정책 변화) (1) | 2025.03.30 |
한국 여행 필수 코스 : 현지인이 추천하는 놓치면 후회할 명소 완전 정복! (1) | 2025.03.29 |
AI 시대, 어떤 전공이 뜰까? 미래 유망 직업 & 대학 전공 추천 (0) | 2025.03.25 |
유상증자란? 개념부터 주가 영향까지 완벽 정리 (0) | 2025.03.24 |
2025년 전국 벚꽃 명소 & 축제 안내 (1) | 2025.03.23 |
국민 취업 지원 제도 1유형, 2유형 대상 조회 신청 (0) | 2025.03.17 |